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에서 일본뇌염(제3급 법정 감염병)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 발견돼 27일 오후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질병관리청은 이날 “제주와 전남에서 이달 24~26일 채집한 모기 42마리 중 10마리가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며 “이는 지난해(3월30일)보다 사흘 빠른 것”이라고 밝혔다. 질병청은 “제주와 완도 지역의 평균 기온이 전년보다 6.2도 오르면서 모기 활동이 빨라진 결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웅덩이 등에 서식한다.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활동의 정점을 찍는다. 일본뇌염에 감염된 모기에 물리면 5~15일 이후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을 겪는다. 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고열·발작·착란·경련·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 가운데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질병청은 일본뇌염 감염 예방을 위해 적극적으로 백신을 접종하라고 권고했다. 질병청은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2012년 이후 출생자를 대상으로 일본뇌염 백신 접종을 지원하고 있다. 접종 가능 지정의료기관과 보건소는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nip.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거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한 적이 없는 18살 이상 성인 중에선 논이나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 시기에 이들 지역에서 활동할 예정인 경우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다. 인도·인도네시아·라오스·필리핀·태국·베트남·중국·일본 등 일본뇌염 위험 국가를 여행할 계획이 있는 이들도 가능한 한 백신 접종을 해야 한다. 야간에 외출할 때는 밝은색 긴 옷이나 품이 넓은 옷을 입고, 노출된 피부 등에는 모기 기피제를 뿌리는 등 예방이 필요하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